프로그래머스 풀기
알고리즘에 대해 생각하기
0단계를 풀다가 1단계를 같이 풀기 시작하니 아직까지 초보 JS자로써 쉽지 않다
문제 중에 긴 문제를 풀게 되면 쉽게 가는 길이 있는데 나도 모르게 자꾸만 훨씬 더 어려운 문제라는 편견으로 코드도 복잡하게 짜게 되고 한참 고민하게 된다 또한 사람이 그 문제를 풀 수 있는 방법은 아는데 그것을 컴퓨터로 옮겨서 컴퓨터가 풀 수 있도록 코드를 짜는 것이 어렵다. 내가 푸는 것은 슥슥 풀 수 있는데 컴퓨터의 생각으로 컴퓨터가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쉽지 아직까지는 쉽게 되지는 않다
비밀지도
비트연산을 할때 |을 이용했는데 계속해서 내가 원하는 답이 나오지 않았다. 처음에는 2진법으로 만든 후 문제의 요구대로 앞에 0으로 채워 지정된 길이에 2진법으로 만들고 |을 하니 내가 원하는 답으로 나오지 않았다
이유는 나는 2진법끼리 or한 값을 원했는데 2진법으로 만든 문자열 2개를 |을 해보니 or를 하지만 십진법으로 반환되기 때문이었다. 다행히 잘못된 이유를 알고 난 후에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여 정답을 맞혔다!!
리액트를 다루는 기술
이번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useState, useEffect을 비롯해 useMemo, useCallback 등에 대해 공부했다
저번 스터디에서 useMemo와 useCallback을 이용한 최적화에 대해 발표한 걸 들었었는데 신기하게 바로 그 부분에 대해서 공부해서 신기했다. 저번에 스터디원이 발표한걸 듣고 책으로 공부하니 훨씬 이해가 더 잘됐다 예제를 따라가면서 공부하니 훅이 렌더링 될 때마다 일어나다 보니 불필요한 계산이나 반복해서 새로 만들어진 함수들이 얼마나 성능을 저하시키는지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. 그리고 알맞은 훅을 알맞은 곳에 적재적소로 잘써야 코드의 가독성도 높이고 간결한 코드를 만들 수 있다는 것도 알게되었다. 훅을 반복해서 계속 연습해 보고 익혀서 훅을 알맞은 위치에 잘 사용하는 개발자가 되어야겠다
후기
비밀지도 문제 풀 때 내가 생각하기에는 맞게 푼 거 같은데 안 풀려서 엄청 고생했다 콘솔을 이곳저곳 계속해서 찍어서 결국 이유를 찾아냈지만 이유를 모르고 코드를 계속해서 수정할 때 얼마나 눈물이 나던지 그래도 역시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면 결국 정답을 찾게 되는 거 같다 히히힣히히히히ㅣㅎ힣 내가 맞췄지렁~
'TIL & 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IL, 06.24-25 (0) | 2023.06.26 |
---|---|
TIL, 06.23 (2) | 2023.06.24 |
TIL, 06.21 (0) | 2023.06.21 |
TIL, 06.20 (0) | 2023.06.20 |
TIL, 06.19 (0) | 2023.06.20 |
댓글